본문 바로가기

진단기준

(3)
비만 진단기준, 평가방법 - 표준체중과 비교, 비만도, BMI 계산, 허리둘레 안녕하세요. 오늘은 비만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살이 쪘다고 느끼거나, 나의 몸무게가 어느 정도인지 알고 싶을 때 비만의 기준을 확인하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비만을 평가하는 방법과 비만의 기준에 대하여 정리해보겠습니다. 본 자료는 '대한영양사협회'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우선, 비만을 평가하는 방법부터 알아보겠습니다. 비만을 평가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 전문적인 방법들이 있지만, 의학적인 편리성까지 고려하여 현재 흔하게 사용되고 있는 평가방법과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표준체중과 비교하기 표준체중이란 가장 건강한 체중을 의미하며, 통계적으로 사망률이 가장 적은 체중을 의미하며, 다음의 순서로 확인합니다. ① 우선, 자신의 키에 해당하는 표준체중을 구한다. ② 비만도 계산 공식에 ..
골다공증도 유전이다? 당뇨 환자가 골다공증 환자보다 골밀도가 높다? -골다공증 진단기준(T 수치) 안녕하세요. 눈도 정말 많이 오고 엄청난 한파로 추운 겨울입니다. 추워서 움직이고 싶지는 않지만 괜히 찌뿌둥하기도 한 날씨인데요, 요즘같이 찬 바람이 불면 뼈까지 시리기도 합니다. 오늘은 우리몸을 지탱해주는 뼈 건강에 대하여, 그 중 골다공증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뼈에 구멍이 생기는 골다공증 우리 몸에는 매우 많은 뼈들이 있습니다. 이 글을 보고 있는 여러분의 손, 목도 뼈로 이루어져 있죠. 뼈가 하는 역할은 우리 몸의 형태를 유지하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중요한 장기를 보호합니다. 골다공증(Osteoporosis)은 뼛속에 구멍이 생기는 것인데요. 뼈 안의 무기질과 유기질이 줄어들고, 뼈가 얇아지고 약해져서 부러지기 쉬운 상태를 의미합니다. 골다공증이 위험한 이유는 뼈에 구멍이 나듯이 약..
이상지질혈증의 진단기준, 위험요인, 증상 안녕하세요. 새해가 시작되었습니다. 작년 연말이 지나면서 많은 분들이 건강검진을 받으셨을 텐데요, 건강검진의 가장 기본은 바로 혈액검사죠! 혈액검사를 통해 공복혈당,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등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흔히들 '혈관 관리를 해야 한다.'라고 하잖아요! 그래서 오늘은 혈액검사로 알 수 있는 '이상지질혈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이상지질혈증이란? 이상지질혈증(Dyslipidemia)은 혈중 지질에 이상이 나타난 것으로, 혈액 속의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LDL-C)의 농도가 기준치보다 높거나 HDL-콜레스테롤(HDL-C)의 농도가 기준치보다 낮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중성지방은 체내에서 합성되는 지방의 한 형태로, 포도당과 함께 우리 몸에서 주된 에너지원으로 사..